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6

반응성 애착 장애 반응성 애착 장애 반응성 애착 장애는 양육자와의 애착 외상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위축된 대인관계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애착 장애는 생후 9개월 이상부터 만 5세 이전의 아동에게 주로 발생한다. 반응성 애착 장애를 지닌 아동은 부모를 비롯하여 타인과의 접촉을 두려워하고 회피함 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생애 초기의 아동은 정상적인 심리적 발달을 위해서 특정한 양육자와 일관성 있는 안정적 애착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안정 애착을 형성하기 위해서 부모는 아동에게 충분한 애정과 관심을 기울이는 동시에 아동이 고통을 느낄 때 이를 적절하게 위로하고 해소해 주는 역할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부모의 이혼이나 가정불화, 우울증을 비롯한 어머니의 정신장애, 보육원 생활 등으로 생애 초.. 2022. 9. 7.
급성 스트레스 장애 부정적인 사건을 겪게 되면 우리는 일시적으로 고통을 경험하지만 곧 일상적인 생활로 되돌아간다. 그런데 어떤 사건들은 너무 강력하고 충격적이어서 우리의 마음에 극심한 고통과 혼란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도 고통스러운 심리적 상처를 남기기도 한다. 이처럼 외부로부터 주어진 충격적인 사건에 의해서 입은 심리적 상처가 바로 외상, 즉 트라우마이다. 어떠한 경우든 외상 사건을 경험한 사람은 그 충격과 후유증으로 인해 심각한 부적응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흔하다. 외상 사건을 비롯한 다양한 스트레스 사건의 경험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들을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라는 장애 범주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급성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는 외상 사건을 직접 경험했거나 목격하고 난 .. 2022. 9. 6.
모발 뽑기 장애 모발 뽑기 장애 모발 뽑기 장애는 자기 머리털을 반복적으로 뽑게 되는 경우를 말하며 발모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장애를 지닌 사람은 머리카락을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뽑기 때문에 대머리가 되는 것이 눈에 띌 정도로 확연하게 보인다.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하기 직전이나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할 때는 긴장감이 높아지고, 머리카락을 뽑을 때마다 쾌락, 만족감, 해방감을 느낀다.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이 다른 정신장애에 의한 것이 아니고 사회적, 직업적 적응에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초래해야 한다. 모발 뽑기 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모발뿐만 아니라 신체 중 모든 부위의 털(눈썹, 겨드랑이털, 음모 등)을 뽑을 수 있으며 가장 흔한 부위는 머리카락, 눈썹, 속눈썹이다. 발모 행위는 하루 동안 산발적으로 .. 2022. 9. 5.
저장장애 저장장애 저장장애는 언젠가는 필요할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버려야 할 물건들을 집안에 산더미처럼 쌓아두는 장애를 뜻한다. 이렇게 쌓아놓은 물건들은 생활공간을 심각하게 제한하고 안전이나 건강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 결과, 사진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이 심한 불편을 겪거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저장장애의 주된 진단기준은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다. 물건을 보관하고자 하는 강한 충동을 느끼며 물건을 버리는 것을 고통으로 여긴다. 물건을 버려야 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한 우유부단성 때문에 명백히 쓸모가 없거나 무가치한 물건을 버리지 못한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서 집, 직장, 개인적 공간을 수많은 물건으로 채우고 어지럽혀 공간을 정상적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한다. 저장장애의 문제 해.. 2022. 9. 4.
신체변형장애 신체변형장애 신체변형 장애는 자기 외모가 기형적이라고 잘못된 집착을 하는 경우를 말하며 신체추형장애 또는 신체 기형 장애라고 불리기도 한다. DSM-5에 따르면, 신체변형 장애는 신체적 외모에 대해서 한 개 이상의 주관적 결함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주관적 결함이란 그러한 결함이 다른 사람에 의해서는 인식되지 않거나 경미한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신체변형 장애를 지닌 사람은 반복적인 외현적 행동(예: 거울 보며 확인하기, 지나치게 몸단장하기, 피부 벗기기, 안심 구하기)이나 내현적 행위(예 :자기 외모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심각한 고통을 받거나 중요한 삶의 영역에서 현저한 장해를 나타낼 경우 신체변형 장애로 진단된다. 신체변형 장애 환자들.. 2022. 9. 3.
선택적 무언증 선택적 무언증 선택적 무언증은 말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상황에서 지속해서 말을 하지 않는 장애로서 주로 아동에게서 나타난다. 이러한 장애를 지닌 아동은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잘하면서도 말하는 것이 기대되는 사회적 상황에서 지속해서 말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아동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먼저 말을 시작하지 않거나 다른 사람이 말을 해도 반응하지 않는다. 선택적 무언증을 지닌 아동들은 가정에서 가까운 직계가족과 함께 있을 때는 말을 할 수 있으나 조부모나 사촌과 같은 친인척이나 친구들 앞에서는 말을 하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선택적 무언증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래 친구들과 놀이는 함께하면서도 말만 하지 않는 아동, 또래에게는 말을 잘하지만 어른에게만 말을 하지 않는 아동.. 2022. 9. 2.